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2021 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1라운드 === >'''[[쵸비|강한 미드]]는 코칭스태프 이상의 효과가 있다.''' >'''미드가 세면 다 돼요. 미드가 왕이에요''' >---- >~~미드신봉자~~ [[강퀴]], 시즌전 팀별예측에서 • 1주차 첫 경기인 T1과의 경기에서 패승패로 졌다. 클로저가 쵸비 솔킬을 따는 등 불안한 요소가 보였으나, 경기력은 나쁘지만은 않았다. 다음 상대로 쵸비와 데프트의 친정팀인 drx를 만났다. 역시 3꽉을 채운 끝에 가까스로 승리하며 1주차를 1승 1패로 마쳤다. • 2주차 kt에게 1세트 쵸비의 엄청난 분전에도 불구하고 패배한다. 그리고 2세트에는 쵸비마저 말리면서 패색이 짙었으나, 데프트의 카이사가 전성기 시절의 캐리력을 보여 주면서 짜릿한 역전승을 거둔다. 그리고 3세트는 전 라인이 집중력을 발휘하여 스노우볼링을 이어간 끝에 무난히 승리한다. 유일하게 전승 중이던 젠지에게 또 1세트를 졌으나, 2세트 쵸비의 요네가 롤챔스 사상 역대급 1인 군단을 보여주면서 승리하고, 3세트에선 아칼리를 잡은 쵸비가 10킬 노데스로 하드캐리하며 젠지를 꺾고 선두권 경쟁에 가세했다. 여담으로 락스에서 한화생명으로 재창단된 이후 최초의 3연승을 기록하며 락스시절의 영광을 되찾아가는 중이다. • 3주차 프레딧전 : 케스파컵 예선의 패배를 이자까지 쳐서 복수했다. 당시 부진한 아서와 미친 폼을 지닌 쵸비가 POG로 선정되며 쵸비생명이라는 불안함도 줄이고, 첫 완승&4연승을 달성했다. 담원전: 3주차 1위 자리를 놓고 두 팀이 격돌했다. 경기전 예상은 담원은 브리온전 패배 및 아프리카전에서 졸전을 펼치면서 다소 흔들리는 반면 한화는 쵸비의 파죽지세와 데프트의 안정적인 폼을 바탕으로 뭉친 상승세라 어느 팀이든 해볼만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경기는 2:0으로 담원의 승리로 끝났다. 1세트에서는 나름 팽팽한 경기 속에 담원의 노련한 운영에 다소 어이없이 패배를 했고, 그 여파인지 2세트에서는 아예 힘싸움에서 밀리면서 초반에 킬을 먹으며 엄청나게 성장한 조이에 전력이 와해되며 끝까지 주도권을 가져오지 못하면서 무기력하게 패배했다. 담원전은 현재까지 한화의 장단점을 여실히 보여줬다고 할 수 있다. 시즌 초 한화의 성공요인은 데프트를 필두로 한 바텀의 안정성과 주도권, 그리고 쵸비가 체급차로 상대 미드를 찍어누르면서 덩달아 상체게임에 우위를 가져가는 식이었는데, 현재 리그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울 고스트-베릴 바텀듀오와 리그 1황 체급의 미드인 쇼메이커를 상대하면서 그동안 한화의 아킬레스 건으로 여겨진 탑과 정글의 체급차가 두드러지게 되어버렸다. 특히 모건이 다소 라인전에서 흔들리는 모습을 의식해서인지 보다 공격적인 성향의 두두를 기용하고 밴픽에도 힘을 실어주는 등 탑의 숨통을 최대한 트여주려고 팀차원에서 노력했음에도 칸을 상대로 한 라인전이나 이후 오브젝트 싸움에서의 한타 등에서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한 점은 뼈아픈 부분.[* 아직 선수 개개인별로 체급차가 많이 나는 팀적 구성인 만큼 젠지전처럼 차라리 약한 쪽을 방어하기보다는 쵸비에게 칼챔을 쥐어줘서 강점을 극대화하는 전략이 나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울프의 경우, 본인의 개인방송에서 1세트 이후 현재 한화처럼 포지션별로 체급차가 심한 경우 쵸비가 담원같은 강팀을 상대로 트페같은 운영챔을 잡으면 수가 빠르게 읽혀 힘이 빠지기 때문에 아쉬운 선택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리그 개막 전 플레이오프 막차 수준의 전력이라는 세간의 예상과 달리 미드와 바텀 두 스타들의 영향력이 생각보다 훨씬 강하고 또 이들을 중심으로 나머지 선수들도 준수한 활약을 펼치고 있다는 점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특히 지난 시즌 팀의 좋지 않은 선수풀 때문에 포지션 변경을 밥먹듯이 하면서 폼이 많이 떨어졌던 뷔스타가 경기력을 많이 끌어올렸다.] 정리하자면, 쵸비와 데프트가 현재 보여주는 캐리력은 한화를 상위권 팀으로 도약시킬 수 있을 정도의 동력을 가지고 있으나 동시에 이 둘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는 반드시 풀어가야 할 숙제다. • 4주차, 5주차 1경기 아프리카전 : 뷔스타가 POG를 싹쓸이하며 2:1로 이겼다. 경기면에서도 레넥톤을 잡은 모건이 기인을 솔킬을 내기도 하고 3세트에서는 아서가 말린 게임에서 적절한 텔 합류 커버로 숨통을 트이게 만들어주기도 했고 아서 역시 우디르를 잡고 말린 게임을 차근차근 복구해가며 활약하는 좋은 모습을 보였는데 POG도 몰표보다는 멤버들이 균등하게 받으면서 대체로 모든 멤버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는 평이 많았다. 특히나 1세트는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해설이 깔끔하고 완벽하다며 극찬을 아끼지 않을 정도로 정갈한 게임을 보여줬고 3세트에서도 말린 게임을 차근차근 복구하며 역전하는 모습을 보이는등 쵸비&데프트에 의존하던 팀컬러가 많이 줄어들고 다른 선수들의 활약이 점점 탄력받는 모습이었다. 리브전 : 써밋-크로코-페이트가 용써도 루트-에포트의 폼이 좋지 않아 압승이 예상되었으나, 상체 3명이 동시에 침묵하면서 역으로 압살당했고, 2위를 유지할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농심전 : 모건의 단독 POG를 필두로 2:1로 승리했다. 1세트는 쵸비의 아지르가 사고를 당하고 아서의 스카너마저 연속으로 잘리는 등 초반부터 완전히 터진 게임을 그나마 두두의 레넥톤이 버티면서 어떻게든 끌었지만 패배했다. 분위기 전환을 위해 모건으로 교체했는데 2세트 그라가스, 3세트 레넥톤으로 철저히 덕담의 사미라의 딜 각을 막아버리면서 패승승 역전승의 주역이 되었다. 이례적으로 탑솔러 두 명의 활약이 두드러진 경기.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